크리스마스는 잘 보내고 있으신가요? 2015년이 이제 얼마남지 않았습니다. 올해 한국영화는 어땠는지 머니투데이 전형화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<br />Q) 올 여름 한국영화 키워드는 '쌍천만'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뜻이기도 합니다. <br /><br />A) [암살]과 [베테랑] 두 영화가 나란히 천만 관객을 동원했는데요. 2주 간격으로 개봉한 영화가 둘 다 천만이 넘는다는 건 그 만큼 시장이 커졌다는 뜻이기도 합니다. 연초부터 살펴보면 지난해 12월 개봉한 [국제시장]도 올해 천만을 넘겼으니 천만 영화가 세 편이나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 이런 성과로 한국영화는 4년 연속 1억 관객을 돌파했고, 총 관객은 3년 연속 2억 관객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Q) 천만영화가 세 편이나 나왔지만 300만명 이상 이른바 중박 영화들은 별로 없었는데요.<br /><br />A) 올해 한국영화는 상반기 참패, 하반기 부활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. 상반기에는 6월에 [연평해전]이 흥행하기 전까지 참담할 정도로 잘 안됐습니다. 부익부 빈익빈도 훨씬 커졌습니다. 총 260여 편이 개봉했는데 100만명 이상 동원한 영화가 24편에 불과할 정도입니다. 천만 영화는 나오는데 허리를 담당해야 할 300에서 500만명 규모 영화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. 중산층이 점차 사라지고, 1대 99로 부가 재편되고 있다는 요즘 한국사회와 비슷한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Q) 그렇군요. 올해는 스타파워가 유독 두드러진 한해이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A) 2000년대 중반에 스타파워는 없다, 티켓파워는 없다, 류의 대담이 유행한 적이 있습니다. 그 당시는 참신한 신인 감독들이 다양한 영화들을 들고 나와서 꼭 스타배우가 주인공이 아니더라고 흥행에 성공하곤 했습니다. 오히려 스타배우가 나왔는데 흥행이 안된 경우들도 더러 있었구요. 그랬던 것이 최근에는 점차 스타파워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. 믿고보는 배우에 대한 기대에, 또 같은 값이면 여러 스타들이 같이 나오는 영화를 보자는 이른바 멀티캐스팅의 유행 때문인데요. 올해 그 정점에 있었던 배우가 황정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[국제시장]과 [베테랑] 그리고 최근 상영 중인 [히말라야]까지 흥행에 성공하고 있습니다. 이 영화들 모두 멀티캐스팅이죠. 거기에 황정민이 믿고 보는 배우도 됐구요. 젊은 배우 중에는 뭐니뭐니해도 유아인을 꼽을 수 있는데요. [베테랑]에서 했던 '어이가 없네'라는 대사는 올해의 대사로 꼽히기도 했습니다. [사도]로 남우주연상을 타기도 했었죠. 유아인은 갤럽 조사에서 송강호와 황정민을 제치고 올해의 배우로 꼽혔으니 최고의 한해를 보낸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Q) 이병헌의 부활, 빼놓을 순 없는데요. <br /><br />A) 올해 이병헌 삼부작은 한국영화계의 화두였습니다.